코딩/1-JavaScript

C1001_데이터

tree0505 2025. 5. 15. 09:47
반응형

C1001_데이터

C1001개념01_시험점수.html


C1001개념02_시험점수_순위추가.html
C1001개념02_시험점수_순위추가.html


C1001개념03_시험점수_삭제.html
C1001개념03_시험점수_삭제.html


  • for안에는 숫자를 넣어야 한다. 
  • for( let i = 0; i<student.length; i++ ) 
    • 0은 student의 배열의 첫번째 큰 대괄호 
    • student.length; => student배열의 마지막 대괄호 
  • for( let j = 1; j<stident[i].length; j++)
    • let j = 1; => student배열의 대괄호에 있는 값의 1번방 부터이다.
    • 즉 데이터 
    • [ 1001, 100, 20 , 32 ] => 여기서 1번방 => 100번부터 시작한다. 
    • 왜그러냐
    • student [ i ]. length; 즉 길이. 길이인데. student[ i ] 
    • student [ i ]=> 각 학생의 성적을 가리키는 거다. 1명의 데이터 
    • student.length; 각각의 학생을 가리키고. 

 

  • for(let j = student[ i ]; j < student[ i ]; j++) 
    • 이렇게는 안된다.
    • student[ i ] 이거는 숫자가 아니라. 그냥 배열이다. 
    • 숫자가 아니기 때문에. 반복문을 숫자만큼 돌릴 수 없다.
    • 배열 한개를 전부 가리키는것  

C1001개념01_시험점수 copy.html


  • 중첩반복 - 셀프탐색 - 보통탐색을 잘 구별해야 한다. 
  • 중첩반복
    • student의 대괄호를  | 대괄호 안에 있는 데이터를 비교한것 
    • 즉 대괄호와 데이터를 비교한것 
  • 셀프탐색
    • 이것은 대괄호 대괄호끼리 비교한것 
    • 즉 [1001, 100, 20, 32],  이것을 기준으로
      • [1001, 100, 20, 32],         
        [1002,  40, 43, 12],       
        [1003,  60, 21, 42],         
        [1004,  76, 54, 55],        
        [1005,  23, 11, 76] 
      • 나머지 대괄호 끼리 비교한것 
  • 보통 탐색 
    •     let student1  = [
              [1001, 100, 20, 32],         // 152
              [1002,  40, 43, 12],         // 95
              [1003,  60, 21, 42],         // 123
              [1004,  76, 54, 55],         // 185
              [1005,  23, 11, 76]          // 110
          ];
    •     let student2 = [
              [1001, 100, 20, 32],         // 152
              [1002,  40, 43, 12],         // 95
              [1003,  60, 21, 42],         // 123
              [1004,  76, 54, 55],         // 185
              [1005,  23, 11, 76]          // 110
          ];
    • 배열이 2개가 있고. 
      • [1001, 100, 20, 32],   기준으로 1번째 배열 
        • [1001, 100, 20, 32],         // 152
                  [1002,  40, 43, 12],         // 95
                  [1003,  60, 21, 42],         // 123
                  [1004,  76, 54, 55],         // 185
                  [1005,  23, 11, 76]
        • 2번째에 있는 대괄호 전부를 비교를 한것 

C1001개념02_시험점수_순위추가.html
C1001개념02_시험점수_순위추가.html



C1001개념03_시험점수_삭제 copy.html
C1001개념03_시험점수_삭제 copy.html


C1001_데이터_문제

  • 틀렸음.
  • 의미 없게 중첩반복을 쓴것 

 

  • 중첩반복은 
    • 총합을 구할 때는 의미가 없다. for 한개로도 된다. 
    • forfor를 2번을 돌면 의미없이 많이 돈거다. 
    • 보통은 중첩반복은 안 쓴다. 
    • 즉 대괄호를 기준으로 대괄호 안에 있는 데이터는  비교를 잘 안한다. 
    • 배열안에 데이터를 구하고 싶으면 
      • 합. 곱등을 구하고 싶으면 for한개면 된다. 
  • 셀프탐색 
    • 순위를 구할때는 상대방 정보를 알아야 하니까 중첩반복을  해야 한다. 
    • 대괄호와 대괄호 끼리 비교
    • 즉 배열과 배열끼리 비교 

C1001문제01.html



C1001문제01.html


C1001문제02.html


  • 중첩반복
    • 비교가 없어도 된다. 
    • 즉 배열과 데이터를 비교할때 사용하는데. 
  • 셀프탐색
    • 이거는 비교가 있어야 의미가 있다. 
    • 비교가 없으면 셀프탐색의 의미가 사라지고 
    • 중첩반복이 되게 된다. 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