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딩/2-JAVA

C02조건문

tree0505 2025. 6. 19. 14:35
반응형
  • C0201조건문입력

  • C0201개념01입력조건문
  •  

package C0201조건문입력;

 

import java.util.Scanner;

 

/*

[문제] 점수 유효성 검사

1. 점수 2개를 입력받아 평균을 구한다.

2. 평균이 60점 이상이면 합격, 60점 미만이면 불합격이다.

3. 조건1)

입력받은 정수가 음수이거나 100점을 초과하면,

오류 메세지를 출력한다.

예) 점수를 잘 못 입력했습니다.

4. 조건2)

평균이 60점 이상이라도 한 과목이라도 50점 미만이면,

불합격을 출력한다.

*/

 

public class C0201개념01입력조건문 {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
 

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

 

System.out.print("점수1 입력 : ");

int score1 = scan.nextInt();

 

System.out.print("점수2 입력 : ");

int score2 = scan.nextInt();

 

int total = score1 + score2;

double avg = total / 2.0;

 

if(100 < score1 || score1 < 0 || 100 < score2 || score2 < 0) {

System.out.println("점수를 잘 못 입력했습니다.");

}

 

if(0 <= score1 && score1 <= 100 && 0 <= score2 && score2 <= 100 && avg >= 60 && score1 >= 50 && score2 >= 50) {

System.out.println("합격");

}

if(0 <= score1 && score1 <= 100 && 0 <= score2 && score2 <= 100 && (avg < 60 || score1 < 50 || score2 < 50)) {

System.out.println("불합격");

}

 

scan.close();

 

}

}


  • C0201개념02입력조건문

package C0201조건문입력;

 

import java.util.Scanner;

 

/*

[문제] Up & Down 게임

1. com은 8이다.

2. me는 숫자 하나를 입력한다.

3. com과 me를 비교해 다음과 같은 메세지를 출력한다.

1) me < com : Up!

2) me > com : Down!

3) me == com : Bingo!

*/

 

public class C0201개념02입력조건문 {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
 

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

 

int com = 8;

 

System.out.print("me 입력 : ");

int me = scan.nextInt();

 

if(me < com) {

System.out.println("Up!");

}

if(me > com) {

System.out.println("Down!");

}

if(me == com) {

System.out.println("Bingo!");

}

 

scan.close();

 

}

}


  • C0201조건문입력_문제

  • C0201문제01
    • 스캐너 사용할려면 import 사용해야 한다. 
    •  

package C0201조건문입력_문제;

 

import java.util.Scanner;

 

/*

[문제]

1. 시험점수를 입력받는다.

2. 시험점수에 해당하는 학점을 출력한다.

3. 아래는 점수표이다.

91 ~ 100점 A학점

90 ~ 81점 B학점

80이하 재시험

4. 단, 만점이거나 A학점과 B학점의 일의 자리가 7점 이상이면, +를 추가한다.

A학점과 B학점의 일의 자리가 3점 이하이면, -를 추가한다.

 

예)

100 => A+

87 => B+

82 => B-

23 => 재시험

*/

 

public class C0201문제01 {
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
 

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

//Scanner 객체 scan을 생성하여 키보드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.

 

System.out.print("시험점수 입력 : ");

int score = scan.nextInt();

//사용자가 입력한 시험 점수를 정수형 변수 score에 저장합니다.

 

String hakjum = "오류";

//학점을 저장할 문자열 변수 hakjum을 선언하고 기본값으로 "오류"를 설정합니다.

 

int tenUnit = score / 10;

//점수의 십의 자리를 구합니다. 예를 들어, 87점이면 tenUnit은 8입니다.

int unit = score % 10;

//점수의 일의 자리를 구합니다. 예를 들어, 87점이면 unit은 7입니다.

 

if(tenUnit == 9) {hakjum = "A";}

//십의 자리가 9이면 (90~99점) 기본 학점을 A로 설정합니다.

if(tenUnit == 8) { hakjum = "B";}

//십의 자리가 8이면 (80~89점) 기본 학점을 B로 설정합니다.

 

if(unit >= 7) {hakjum += "+";}

//일의 자리가 7 이상이면 학점 문자열에 "+"를 붙입니다. 예: 87점 → B+.

if(unit <= 3) { hakjum += "-";}

//일의 자리가 3 이하이면 학점 문자열에 "-"를 붙입니다. 예: 82점 → B-.

 

if(score == 100) {hakjum = "A+"; }

//100점은 예외적으로 무조건 "A+"로 설정합니다. 위에서 설정한 값을 덮어씁니다.

if(score <= 80) {

hakjum = "재시험";

//점수가 80 이하인 경우, 학점 대신 "재시험"으로 설정합니다. 위에서 설정한 값을 덮어씁니다.

}

System.out.println(hakjum);

 

scan.close();

 

}

}

 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