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딩/2-JAVA

B0201클래스 ~ B0202클래스와데이터

tree0505 2025. 4. 8. 10:20
반응형
  • B0202클래스와데이터_문제B02클래스와데이터
  • 지금까지 1차배열. 2차배열로 데이터를 다루었다.
  • 이제는 클래스로 다루어 보겠다. 
  • 자바스크립트와 비슷하다.
  • 자료형까지 정해주면. 정의한다. 

B0201개념01_클래스
B0201개념02_중첩선언불가
B0201개념03_클래스축약형

  • 결론은 클래스를 사용할 거다. 
  • 배열과 2차배열은 사용하지 않는데. 
  • 최종적으로는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 
  • 왜냐 관리하기 편하니까 

  • 클래스와 데이터 

B0202개념01_기본이론1
B0202개념01_기본이론1


  • 중요하다.
    • test라는 네모가 생기고
      • test라는 네모 1개
    • new int [2]가 먼저 생긴다
      • 즉 머리가 2개가 생긴다. 
      • 0 1 
      • 0 1 
    • new int [2] [ 3 ]
      • [ 3 ]이 나중에 생김 =>6개
      • 0 1 2
      • 0 1 2
      • 0 1 2 
    • 그래서 총 변수는 9개이다. 

B0202개념02_기본이론
변수는 총 9개
B0202개념02_기본이론2


B0202개념03_기본이론3
B0202개념04_기본이론4



  • 클래스 문제 

B0201문제01


  • B0202클래스와데이터_문제
  • int [ ] [ ] arr =
    • 2차 배열 
    • 첫 번째 [ ] 은 i이다. 즉. 방 번호. 데이터를 찾기 위한
    • 두 번째 [ ] 이게 데이터를 넣는 배열이다.
  • 클래스 만드는 순서 
    • 배열의 길이를 알아 내야 한다. 
    • 방 번호 만들고
    • 데이터는 반복문을 돌리기 
  • 클래스 만들기
    • 클래스를 정의 - 주석 처리. 이렇게 만들겠다. 
    • Game[] gameList = new Game[arr.length];
      • 즉 gameList 1개 / arr.length 6개 => 총 7개
      • 즉 머리만 만든거다.
      • 방 번호만 만든 것 
    • 데이터는 반복문을 통해서 알아 낼 수 있다. 
      • Game g = new Game(); 
      • a b c 가 arr.length만큼 6개 
      • 6 * 3 = 18개 

B0202문제01
B0202문제01
B0202문제01


B0202문제02

반응형